독서중에...

유전자 조작 농산물의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주요한 환경위험은?

금강육묘원 2011. 12. 23. 22:50

이윤에 굶주린 자들

(프레드 맥도프,존 포스터,프레드릭버텔 엮음/윤병선,박민선,류수연 옮김)/울력

 

4장. 공업적 농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진정으로 지속 가능한 농업의 가능성

 

1, 기업들이 설정한 방향은 단일 생산물을 위한 광범위한 국제시장을 창출함으로써 농촌경관이 유전적으로 획일화되는

   조건을 만드어 내고 있다.  넓은 면적에 단일품종을 경작하면,병원균 또는 해충의 새로운 변종에 의해 피해를 입기

   쉽다는 것을  역사는 반복해서 보여주고있다.

2. 이러한 작물이 보급되면 예전의 품종이 사라지게 됨으로써 경작체계는 단순하게 되고, 유전자에 대한 침식이 일어나서

   작물의 유전적 다양성이 위협받게 된다.

3. 예측하지 못한 생태학적 영향도 우려되지만 , 부가된 유전자가 의도하지않은 근연식물로 전이될 가능성도 있다.

   유전자가 제초제 내성 작물로부터자연교배에 의해야생종과 반야생의 근종으로 전이되면 수퍼잡초가 만들어질 수 있다.

4. 대부분의 해충은 Bt독소에 대하여 내성을 매우 신속하게 획득할 것이다.

5.작물에 Bt 독소가 대량으로 사용되면 생태과정과 방제대상 이외의 생물에게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6. 바람과 야생식물에 의해 운반된 Bt 작물의 꽃가루는 초식 곤충의 자연개체군을 사멸시킬 수 있다.

7.Bt독소는 잎의 성분과 부엽토를 통하여 토양에 들어갈 수 있다.

  이로인해 토양속의 유기체와 영양분의 순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8.작물을 오염시키는 바이러스와 생명공학 기업에 의해서 도입된 바이러스성 유전자가 결합되면,

   새로운 변종의 바이러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9. 바이러스에 내성을갖는 유전자 조작 농산물을 대규모로 재배할 때 발생하는 또 하나의 중대한 환경문제는

   바이러스로부터 얻은 유전자가 꽃가루를 매개로 근종의 야생식물로 유전될 가능성이 있다. 137 - 138쪽에서